전체 글(169)
-
깃허브 파종기 MK.2 (리모트 컨트롤, 문자알림, 디스코드 웹훅)
https://n-pureun.tistory.com/207 깃허브 파종기를 만들어 보자!깃허브에선 기여도(contribution)라는 것이 있다.그리고 이것을 우리는 잔디심기 라고 표현한다. 근데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잔디가 많이 심어져 있는 것을 미덕으로 생각한다면, 진짜 "잔디n-pureun.tistory.com이전에 깃허브의 잔디를 알아서 심어주는 봇을 만들었다.그런데 막상 만들고 나니 기능적 욕심이 더 생기기 시작했다. 그래서 버전을 업그레이드 했다! spring으로 개발을 확장시켰다. 스프링이 필요한 이유는 후술한다. PlanterController @RestController@RequestMapping("planter")class PlanterController( private ..
2025.02.28 -
깃허브 파종기를 만들어 보자!
깃허브에선 기여도(contribution)라는 것이 있다.그리고 이것을 우리는 잔디심기 라고 표현한다. 근데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잔디가 많이 심어져 있는 것을 미덕으로 생각한다면, 진짜 "잔디만" 잔뜩 심어진 것은 미덕일까? 그럼 자동으로 잔디를 심어주는 봇을 만든다면 어떨까?사실 말도 안되는 소리긴 하지만, 재밌을거 같으니 일단 만들어나 봤다. 1. 우선 더미 리포지토리를 하나 생성한다. 2. 해당 리포지토리를 클론해 로컬로 받아온다. 3. 봇을 구현한다.mainclass RunnablePlanter( directory:String){ private val modify=Modify("$directory/contribute.kt") private val gitControll..
2025.02.24 -
(kotlin-spring) twilio 문자 인증/문자 전송 서비스 만들기
들어가기 앞서, 이분의 코드를 거의 따라했다. https://akku-dev.tistory.com/127 스프링부트에서 SMS 본인 인증 구현하기 - 1. Twilio로 구현현재 개발 중인 서비스에서 본인 인증 기능이 필요해졌다. 한번쯤 써봤을 PASS 본인인증 같은 기능이다. 내가 인증 대상이 될 때는 몰랐는데, 본인 인증 기능을 개발하려니 업체 선정에서부터 어akku-dev.tistory.com 문자인증, 문자 전송 서비스를 만들어 보려 하는데, kotlin으로 작성된 글은 없는 것 같아 내가 올리고자 한다. 우선 어째서 twilio를 쓰는가 부터 알아보아야 한다. 장점1. 비용보통 문자서비스는 구독제 이거나, 건당 가격으로 비용이 들어간다. 하지만 twilio는 트라이얼 계정으로, $15 크레딧의..
2025.02.12 -
springboot기초(외전)-추상화는 곧 가독성이다.
기존 RPS 로직 fun play(userRps: RpsSelect): RpsResultResponse { // 기존 게임 기록을 불러와 점수를 초기화 var userScore:Int=0 var comScore:Int=0 rpsDataRepository.findAll() .let { if(it.isNotEmpty()){ userScore=it.last().userScore comScore=it.last().comScore } } //게임 로직 val rpsBord = arrayOf( ..
2025.01.08 -
인턴 끝!
24 12/24일자로 인턴십이 끝났다.2달이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나름 재밌게 지냈던거 같다.무엇보다 프로젝트 초기단계에 투입된 입장이라, 체계가 잡혀있지 않고, 환경도 구축되어 있지 않은 채 모두가 우왕좌왕 하는 상황에서 의견을 내고, 개발을 진행시킨 것은 특별한 경험이었다.나중엔 대표님이 "푸른씨가 들어오고 나서 개발방향이 잡히고 진행되기 시작했어요. 고마워요" 라고 말씀을 해주셔서 의미가 깊은 인턴십이 된 것 같다. 어느순간 모든 개발팀원들에 내게 의견을 물어보고, 방행성을 잡으며, 서비스 플로우에 대해 논의할때, 나는 내가 이 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자긍심이 생겼었다. 한 편으론 나는 추상화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추상적인 이야기들을 종종 했었는데, 팀원들이 이를 이해하기 어려워 함에 따라..
2025.01.06 -
문자열 정규화 로직 개발
개요인턴십을 하고 있는 회사에선 문서 edit을 주력으로 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그에 맞게 문저를 여러 확장자로 변환하고, 나누는 등의 작업이 들어가는데, 여기서 간과되기가 쉬운 요소가 있어 이를 바로잡는 함수를 만들었다. 여러 데이터 소스에서 추출된 문자열들은 각각의 양식에 맞춰 다른 포맷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예를 들어 "a b"라는 문자열이 "a b"라는 문자열로 중간에 공백 문자등이 하나 더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인간이기에 의미단위로 생각해서 두 문자열을 같다고 인지하겠지만, 컴퓨터는 그렇지 못하다. 컴퓨터는 메모리에 적재된 원소단위로 판단하기에 두개의 문자열을 다르다고 해석할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가 여러 데이터 소스에서 문자열 등을 추출하여 핸들링을 할 것..
2024.11.22